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호 조무사 공부에 도움 되는 인체 구조와 기능 1

by alicebluemoon 2025. 4. 27.
반응형

나의 재능기부..

이게 재능일까는 모르겠지만 내 머리속에 있는 나의 얕은 지식의 기록.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것으로도 좋은 그런 마음의 시작.

관련 교과들의 개정과는 별개임을 참고 부탁드려요.

오로시 제 머리속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록하고 있으니 간호조무사를 공부하시는 중이라면 참고정도로만 봐주시길.

 

해부학 용어

해부학이란???

인체를 절개하는데 기초를 둔 것

anatomy는 부분이라는 ana와 자른다 tomy 가 합쳐져서 유래됨

해부학, 의료계, 간호조무가, 공부, 시험

 

의료계통을 공부할 때 가장 기초적으로 배우게 되는 과목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해부학 자세 Anatomical position의 정의

①  양쪽 발을 앞뒤로 일직선 되게 모은채 똑바로 서 있는 자세

②  눈은 앞의 수평선을 바라본다

③ 양팔의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④ ③번의 형태로 양팔을 자연스럽세 늘어뜨리고 있는 자세 

---> 두발이 앞으로 향하게 양발을 약간 벌린 서있는 자세. 포인트는 손바닥이 앞으로 향하게 팔을 늘어뜨림.

---> 이 자세는 해부학에서 말하는 기관이나 이치 방향 등을 나타내는데 기준이 되는 자세. 

해부학적 자세 , 해부학, 인간, 간호조무사, 공부

인체의 면

정중면: 좌우로 나눔

가로면: 배꼽기준 수평으로 위아래로 나눔, 수평단면, 횡단면

관상면: 인체를 앞뒤로 나눔

시상면: 정중면에 평행한 면 

           컴퓨터단층촬영(CT) 기법이 이 시상면을 이용한 것임 정중면에 평행하게 계속 쪼개어

           몸전체나 부분을 자르거나 해서 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인체를 단면으로 확인

          ---> 컴퓨터 단층 촬영(CT)과 관련 있는 인체의 면은? 시상면

위치 및 방향

인체의 위치 및 방향의 기준? 해부학적 자세

내측=안쪽 medial
정중면에 가까운 곳
외측=바깥쪽 lateral
정중면에 먼곳
앞 anterior
몸의 앞면(가슴, 배..)
뒤 posterior
앞면의 반대 쪽( 등..몸의 뒤쪽)
위=두측 superior
머리가 있는 쪽
아래=미측 inferior
다리가 있는 쪽
근위=몸쪽 proximal
몸통에 가까운 곳
원위=먼쪽 distal
몸통에서 먼쪽
손바닥  손등 
발바닥 발등
안 inner
속이 빈 기관 혹은 강의 속, 속부분
밖 outer
속이 빈 기관 혹은 강의 겉, 겉부분
얕은 superficial
신체의 표면
깊은 deep
신체의 심부 (내부)
중심 central
중심부
말초 peripheral
중심부에서 뻗어나가는것

 

내측, 근위, 중심                                                                             외측 원위 말초

 

 

해부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 간호조무가, 공부, 시험

 

 

 

움직임을 나타내는 용어(관절운동)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

굴곡: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원래 이루고 있던 각도보다 줄어드는 것, 활막성관절 각도가 작아지는 것, 굽힙

신전: 굴곡되었던 것을 다시 펴는 운동, 활막성 관절 각도가 커지는 것, 폄

------->>>>  쉽게 말해 신체를 굽히는 게 굴곡 다시 펴는 게 신전

과신전(hyperextension)

신전이 해부학적 자세의 한계를 약간 넘어서는 경우, 과다신전, 과다폄, 어깨관절과 대퇴관절등에서 일어남.

------>>>> 쉽게 말해 림보게임 같은 거 엄지가 손등에 붙일 만큼 되는 것 고개를 뒤로 젖히는 것. 등등 원래 굽어져야 하는 것에서 펴는 게 신전이고 더 펴서 넘어가는 게 과신전이라 생각하면 됨

 

주먹 쥔다 굴곡 편다 신전 폈던 손을 뒤로 젖힌다 과신전 이런 느낌.

 

 

** 신전과 과신전

신정이 굴곡의 반대라면 관절의 각사이가 커지고 멀어지는 운동 

구부렸던 팔 대퇴 무릎을 펴는 것이 신전이다. 이렇게 편 위치를 지나쳐 뒤로 구부리거나 손등 쪽으로 구부리는 것은 과신전이라 한다. 구부린다고 굴곡 생각하면 안 됨 원래대로 굽어지는 것은 굴곡이지만 그 반대로 오버해서 굽혀지는 것은 과신전인 것 즉 신전의 과오버 상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림보게임에서 허리가 뒤로 굽어졌다고 해서 굴곡이라 하지 않고 과신전이라고 해. 원래도로 숙여지는 것이 굴곡이면 뒤로 젖혀져 굽어지는 것은 과신전 원래대로 펴는 것은 신전 헷갈리지 않기.

 

내전과 외전

내전: 정중선(몸의 중심선)에 가까이 오는 것

외전: 내전과 반대로 정중선에 멀어지는 것

-----> 팔이 몸중심선으로 움직임 내전 팔을 바깥으로 움직임 외전

 

휘돌림=회선

굴곡, 신전, 내전, 외전의 연속된 운동

팔로 원을 그리는 운동,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는 운동

 

회전(돌림)

장축을 축으로 하며 도는 운동

 

회내(엎침)와 회외(뒤침)

해부학적 자세에서 팔을 늘어뜨리고 손바닥은 앞을  향하게 하는데 그것을 준으로 생각해 보자

회내: 손바닥이 앞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엎어짐  즉 손을 움직여서 손등이 앞을 보게 하는 것

        손 바닥 이 앞을 보고 있는 해부학적 자세에서는 팔의 앞쪽 뼈인 요골과 척골이 일직선으로 평행이다.

        이 상태에서 손등이 앞으로 보이게 움직이면 이 외측에 평행하게 있던 요골이 척골 앞으로 와서 이 두뼈가

        X  모양이 되고 손등이 앞을 향하게 된다.

회외: 손등이 앞을 보이게 했던 회내에서 다시 원래 상태인 손바닥이 앞으로 보이게 하는 상태를 회외라고 한다.

         즉 다시 요골과 척골은 손의 바닥이 앞을 보이게 운동함으로 써 일직선이 원래대로 나란히 놓이게 된다.

---> 회내 손등이 앞을 보이는 것 회외 다시 제자리 손바닥이 앞을 보이게 하는 것

 

내번(안쪽 들림)과 외번(가쪽 들림)

내번: 발바닥의 내측 안쪽 면이 움직이는 것으로 발바닥끼리 마주 본다 생각 발바닥의 내측연이 위로 향한 상태

외번: 발바닥의 바깥쪽 외측면이 움직이는 것으로 발등끼리 마주 본다 생각 발바닥의 외측연이 위로 향한 상태

 

 

** 관절운동의 정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뼈가 인대로 연결된 곳을 관절이라고 함. 이 관절로 연결된 뼈에 붙어있는 근육을 골격근이라고 하는데 골격근은 가로무늬가 있어서 가로무늬근육이라고도 불리고 횡문근이라고도 해 의지에 따라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어서 수의근(맘대로근육)이라고도 하고 관절운동은 즉 골격근이 번갈아 가며 수축하게 하는 운동으로 근육운동의 하나임. 

 

 

 

 

 

 

 

 

 

 

 

 

반응형